반응형

기업 M&A, 기업 손익 재무 분석 등을 접하다보면 EBITDA라는 용어를 자주 볼 수 있다.

EBITDA란 무엇인지 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1. EBITDA란? What is EBITDA?

EBITDA는 이자, 세금, 감가상각 및 상각 전 수익을 나타낸다. 말 그대로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이다.

자본구조 및 조세부채와 관련된 비용을 반영하기 전에 기업의 영업실적과 수익성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EBITDA는 기업의 순이익에서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및 상각비를 합산하여서도 계산된다. 비영업적인 요소와 비현금 항목을 제외한 기업의 핵심 운영으로 발생하는 수익과 현금흐름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다.

2. EBITDA의 역할 How does EBITDA work?

EBITDA는 산업 전반에 걸쳐 기업을 비교하는 데 사용할 수 있고, 수익성에 대한 정규화된 관점을 제공한다.

부채 금융, 세무 및 회계 가정과 관련된 변수를 제거하여 비즈니스의 영업 수익에만 초점을 맞춘다.

EBITDA의 구성요소는,

순이익 : 회사의 수익에서 모든 영업비용을 차감한 후에 나오는 순이익에서 EBITDA 계산의 기본으로 시작한다.

이자 : 부채에 대하여 지불한 이자를 다시 가산함으로써 다양한 자본 구조의 영향을 무효화한다.

세금 : 세율과 정부규제는 국가마다 산업마다 매우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변수를 제거한다.

감가상각 : 비현금성 비용 관점에서 회계처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를 가산한다.

상각 : 감가상각과 동일한 개념으로 비현금성 비용을 순이익에 가산한다.

해당 비용들을 순이익에서 가산하여 운영 및 생산 활동에만 기반을 둔 회사의 현금 흐름 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것을 우선시한다.

회사의 수익에서 이자, 세금, 감가상각, 상각을 제외한 영업비용을 계산하여 차감하는 방법과 차이는 없을 것이다.

EBITDA의 활용

EBITDA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조정 EBITDA : 재고 보상 및 구조 조정 비용과 같은 일회성 비용 등을 제거하여 사용

EBITDAR : 임대료 비용 가산, 소매점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

EBITDARM : 로열티 비용 및 마케팅 비용을 추가, 주로 호텔 등 산업에서 활용.

EBITDAC : 고객 확보와 관련된 비용을 추가, 구독 비즈니스에서 주로 사용

EBITDA의 장점

업종과 관계없이 다양한 회사의 수익성을 비교할 수 있음.

다양한 비즈니스의 성과를 분석할 때, 비즈니스의 자본 구조, 세금, 회계정책의 영향을 제거함.

순이익 대비 회사의 현금흐름 창출 능력을 좀 더 면밀하게 추정함.

EBITDA의 단점

EBITDA가 주주에게는 가장 적합한 지표가 아닐 수도 있음.

높은 부채 수준과 같은 주의, 경고 신호를 간과할 가능성이 있음.

자본 투자나 자산가치 하락이 사업의 재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력이 떨어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