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지기준 2018년 10월 30일 Apple에서 신제품 발표회를 했다.

이번에 출시되는 제품은 Macbook air, Mac mini, ipad pro 세가지였다. 

지금 주문하면 다음주 11/7일부터 받을 수 있다고 발표에서 이야기한다. 현지도 그렇고 국내도 그런지는 잘은 모르겠다.



핸드폰을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다보니 애플기기에 대한 관심이 있기는 한데, 이렇게 실시간으로 시청해본 적은 처음이다. 영어로 한번 들어볼까라는 핑계로 시청해보았다.

역시 실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다 알아듣지도 못하고 중간중간 다른 생각을 하니 무슨 이야기인지 잘은 모르겠다 생각한 부분도 있었다.

처음에는 맥북에어를 소개했다. 우리나라에서는 맥북이 윈도우노트북보다 많이 쓰이지는 않아서 시리즈에 대해 잘은 모르는데, 아마 맥북 중에 가벼운 노트북이 에어가 아닌가 싶다. 



윈도우에 너무 익숙해진 탓에 새로운 운영체제 쓰는 것도 번거로운 면도 있고, 우리나라 노트북 사용환경이 아무래도 윈도우쪽에 맞춰져 있다보니 불편하기는 하겠지만 감성이라는 측면에서 항상 Mac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기는 하다. Mac을 사용하는 분들은 적응되면 윈도우보다 나은 측면이 많다고도 하는데 각각 장단점이 있고, 사용목적에 따라 상대적인 부분이니 판단하기는 힘든 것 같다. 다만, 나는 아직 노트북 살 시기는 아니기 때문에 구입할 이유는 없고 2.75lbs 가 Kg단위로 얼마인지 모르겠는데 약 1.2Kg이 되지 않을까 싶다. 1.2Kg이면 뭐 그래도 들고다니면서 사용하기 괜찮은 노트북이란 생각은 든다. 가격은 $ 1,199 부터 시작이라고 한다. 터치아이디 2세대가 적용되었고, 더 가볍고, 더 얇고, 빠르고, 사용하기 편하고 기능이 좋아졌다 이런 이야기들이다. 새로 나온 제품이니 최근 부품들이 사용될테니 당연한 것 같다. 


그리고 나온 Mac mini이다. 마치 외장하드나 NAS처럼 생겼는데 컴퓨터이다. Macbook하고 iMac이 애플컴퓨터인줄만 알고 있었는데 해당 제품도 있었다. 내용은 역시 기존과 다른 퍼포먼스를 보여주도록 업그레이드 되었다는 내용이었던 것 같다. 가격은 $ 799 부터 시작이다.

그리고 중간에 Today at Apple 이라는 세션을 진행한다고 하고 자신들의 것들을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는 내용이 나왔다. 한국스토어로 보이는 화면도 나오기도 했다. 

그리고나서 나온 iPad Pro 이다. 이게 아마 메인 출시제품이 아닐까 생각한다.



iPad 신제품 관련해서는 루머도 있고, 해당 유출된 디자인이나 소문이 대부분 사실이었던 것 같다.

iPhone처럼 홈버튼이 사라졌고, FaceID를 적용시켰고, 충전포트가 USB-C type으로 변경되었다.

USB-C type으로 변경되면서 iPad로 iPhone 충전이 가능한 장면이 나오고, 여러 기기들과 연결이 자유로워졌다는 내용이 큰 변화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함께 변화된 애플펜슬과 키보드 등 엑세서리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는데, 애플펜슬의 경우 iPad에 자석처럼 붙으면 충전이 되고 두번 두들기면 사용펜이 바뀌는 등 신선했던 것 같다.

테블릿은 아마 iPad가 독보적으로 변하지 않을까 싶다. 어차피 난 구입해봤자 유투브 머신이 되지 않을까 싶기는 한데, 점점 더 기술이 발전해나가면 테블릿도 다양한 모습을 보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핸드폰, 테블릿, 노트북 사이에 어떠한 방향으로 갈지는 잘 모르겠다. 지금은 3가지 용도가 다르다고 하기도 하고 어떠한 변화과정에 시작지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변화된 iPad로 Game과 Photoshop 구동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AR기능이라고 하는 것에 조금은 놀라웠다. 아직까지는 저런 기능이 어떠한 역할을 하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이렇게 점차 발전해나가다보면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iPad Pro 가격은 11인치 기준 $799 부터 시작이다.

개인적으로는 Mac OS 경험측면에서 Macbook air가 궁금하기는 하고, iPad가 대중적으로 가장 인기가 있을 것 같기는 하다. 애플펜슬이나 iPad 사용해보고 싶기는 한데, Photoshop 작업이나 스케치를 하는 사람도 아니고 잘 하지도 못하기 때문에 나에게는 아직은 필요한 기기들은 아닌 것 같다.

Apple Special Event를 실시간으로 시청해보았는데, 나름 괜찮았던 경험이었던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첫번째 강의를 시청하였다. 강의라기 보다는 동영상 클립이라는 말이 더 맞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지금 이용하고 있는 것은 유투브(Youtube)를 통해서 해보려고 계획을 세웠다.

우선은 파이썬에 대한 기초지식을 익히고, 그 다음에는 HTML, CSS에 대한 기초지식을 익혀보려고 한다.

다만 나도 아예 초보적인 입장이고 아예 시작하는 단계이므로, 제대로 된 설명 누군가에게 나의 지식을 전달하는 정도의 실력은 안 될 것 같다.

인터넷강의가 막 처음 도입되고 성행할 때에 학교를 다녀서, 현재 어떠한 식으로 인터넷강의가 진행되고 발전하였는지는 잘은 모른다. 다만, 요즘에는 학원을 다니는 것 보다 인터넷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참 많아진 것 같은데, 사실 이용은 잘 안 해보았다. 의지의 문제일 수도 익숙하지 않은 것에 대한 두려움일 수도 있고, 무료강의는 상대적으로 유료강의에 비해 정보가 적지 않나라는 고정된 선입견의 영향도 있을 것 같다. 돈을 지불하게 되면 아마 양질의 강의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으나, 요즘 시대에는 유투브나 무료사이트를 통한 정보공유를 통해 지식을 배우는 것으로 점점 바뀌어 나가는 것 같다.

그래서 작지만 작은 도전으로 파이썬을 유투브, 또는 무료사이트 등을 통해 배워보려고 한다. 영어로 된 사이트나 영상을 이용할 생각이다.

우선 내가 볼 영상은 CS dojo 라는 유투버의 영상이다. 유투버에 대한 소개나 다른 영상은 많이 보지 않아서 CS dojo라는 유투버에 대한 이야기는 따로 하지 않고, 차차 유투브를 보면서 영상을 시청해볼 생각이다.


처음 영상의 내용은 파이썬 Python 설치, 실습환경 등에 대한 설명, 파이썬에 대한 개괄적인 이야기를 하고 시작한다. 영어로 강의를 들어보니 느낌은 약간 다르긴 했다. 자세히 이해를 하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는 확실히는 모르겠으나, 화면도 있고하니 완전히 모르겠다는 아니여서 처음 느낌은 괜찮았다.

해당 영상에서는 주피터노트북을 설치하여 파이썬에 대해 실습을 한다.

주피터노트북은 IDE로 빠르게 자신이 쓴 코드 등을 실행시키고 확인하는데 용이하다고 한다. 또 주피터노트북을 설치하면 파이썬, 주피터노트북 두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없이 주피터노트북 설치만으로 실습이 가능하다고 한다. 가상머신 같은 프로그램으로 보이는데, 주피터노트북을 실행하고 크롬이나 사파리 등 인터넷브라우저를 통해서 실행이 가능하다.  https://www.anaconda.com/ 해당사이트에서 다운받아 설치가 가능하다.

해당 설치가 끝나고 바로 실습 강의에 들어간다. 처음 내용은 Print("Hello world")이었다. 처음 파이썬에서 작성하게 되는 코드였다. 잘은 기억이 나지 않는데 항상 모든 프로그램언어 배울 때 해당 Hello world라는 문구를 컴퓨터에 보내는 것이 전통이라고 한다.

그 뒤 a = 1 이라는 코드 a를 1로 지정한다는 것이었다. 그럼으로써 a가 variable이 된다. 이럴 때를 대비해서 대학교 때 통계나 수학을 배울 때 변수에 대한 것을 잘 이해해놓을 껄 그랬다. 항상 그런 것들을 배우면서 어디에서 쓰이긴 하나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런 곳에서 볼 줄은 몰랐다.

문자로 쓴 것은 String이라고 하는 것 같은데 이건 나중에 또 확인해보아야겠다.

또 기억하고 싶은 것은 a = 1 로 지정하고, b = a 로 지정하면 b는 a로 지정된 것이 아니라, b = 1 이라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a = 1 b = a 로 코드를 작성하고 a = 2 로 바꾸면 b도 2로 바뀌는 것이 아니라 b는 여전이 1이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마지막 내용은 두 변수의 값을 swap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었다.

a = 1 , b = 2를 작성하고 temp = a 라는 임시코드를 만들고, a = b , b = temp 로 작성하면 swap이 된다.

기초적인 것이지만 나에게는 아주 의미가 없는 영상은 아니었다. 앞으로 계속 영상을 보면서 배워나가야겠다.



반응형
반응형

어릴 때는 IT에 관심이 많았던 것 같다. 지금도 아예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고, IT제품 등 구매하는 것, 이용해보는 것을 즐기기도 한다. 다만, 남보다 빠르게 제품을 쓰는 타입은 아니고, 처음 겪는 제품을 이것저것 테스트해보고 장단점을 말할 정도의 전문지식은 있지는 않다. 어떤 하드웨어가 들어가고 최신 트렌트는 무엇이며, 어떠한 부품을 썼는데 그것이 좋은지 안 좋은지, 다른 대체품으로 무엇이 있는지, 전압이나 전류에 대한 설명, 배터리 등에 대해서 자세한 전문지식은 없다. 그래서 개조나 다른 것 없이 순정상태로 이용하는 편이고, 한 제품을 쓰면 의외로 오랫동안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서 트렌드 등에 쉽게 못 따라가는 단점이 있는 것 같다. 어릴 때에도 컴퓨터에 관심이 많아서 어린 나이에 서점에 가서 최신 컴퓨터 잡지를 본다던가, 프로그램 관련된 책들을 찾아보고는 했다. 그러다 언제인지도 모르게 내 흥미가 사라진 것인지, 흐름이 너무 빨라서 못 따라간 것인지, 조금씩 잊혀져가고 예전에는 CPU니 그래픽카드니 어떤 것이 최신이고 대중적인게 무엇인지에 대해 감을 잡고 조립컴퓨터를 맞췄었고, 컴퓨터에 오류가 생겨도 고치려는 열의정도는 있었는데, 대학교를 다닐 때 집 컴퓨터가 고장나서 다시 구매할 때는 그냥 인터넷에서 표준컴퓨터를 구매하고, 고장나도 AS를 부르는 사람이 되어 버렸다. 그러다 2017년 아니면 아마 그보다 먼저쯤부터 다시 IT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제품 분석하고 비교, 어떤 것이 평가 점수가 더 높은지에 집착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충은 리뷰하시는 분들의 이야기는 알아들을 수 있는 정도는 되어 가는 것 같다. 물론 기초적인 지식이 없기에 현직이나 전문가분들이 하는 이야기를 전부 알아들을 수는 없을 것 같다. IT에 관심이 생기고 언제부터인가 이제 교육의 정규과정으로 코딩이 생기고 코딩이 중요해질 것이다라는 이야기를 최근에 많이 들은 것 같다. 지금 현재는 내 관심이 많이 없어진 면도 있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그래도 중요한 것이라면 아마 나중에도 필요한 교육과정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프로그램언어를 배워서 직업을 찾고, 소프트웨어엔지니어나 컴퓨터공학자가 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어렸을 때 기억을 되살리고, 어릴 때 해보고 싶었던 컴퓨터언어 하나쯤은 배워보려고 생각하고 있다. 유용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잘 모르겠다. 컴퓨터언어 하나 배운다고 무엇이 달라지겠는가라는 생각도 들기는 하는데, 컴퓨터언어 공부도 영어의 연장선으로 하려고 한다. 무엇이 먼저, 더 목표를 두고 있는지는 나도 내 생각을 잘 모르겠는데, 전문적으로 컴퓨터언어를 마스터해서 그쪽 분야로 옮겨가고 싶은 마음은 아직까지는 없고 그런 생각을 하기에는 아예 기초적인 지식, 능력이 부족한 상태이기는 하다. 조금 배워보고 나와 맞는다고 생각하면 모르겠지만 관련전공을 한 것도 아니고, IT 메카니즘에 대한 이해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선택한 컴퓨터 언어는 파이썬 Python을 배우려고 한다. 그 이후에는 HTML, CSS, Java script로 생각하고 있는데, 일단은 Python을 하고 난 뒤에 생각해보려고 한다. 일단이라는 게 말이 이상할 수도 있는데, Python 마스터, 전문가가 된 뒤는 아니고 어느정도 이해하고 생각했던 초보과정정도를 마무리하고나서 응용을 할 것인지 다른 것들을 배워볼지 생각해봐야겠다. 프로그램제작자나 관련 분야 이직에 대한 목적은 아니고 취미로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목적이다. 영어로 된 원서 읽어보기처럼 이런 프로그램언어 관련된 자료는 영어로 된 자료가 많기 때문에 그것들을 이용해볼까 한다. 영어로 된 관련 동영상을 시청하고 실습해보고, 그 과정에 대한 글을 남기고 해볼까한다. 영어원서읽기도 꾸준히 하고 Python 학습도 꾸준히 하면 그래도 무언가 변화가 있지 않을까 바래보면서 해당 목표도 설정하고 실행해봐야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