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스를 구축한지 한달정도 된 것 같다.

집 메인 컴퓨터는 리눅스민트를 이용중이고, 현재 글을 작성하는 노트북은 윈도우10이 운영체제로 노트북의 경우 외부에서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네트워크 관련해서는 많이 아는 것이 없다보니 그냥 인터넷 브라우져에 http://아이디.synology.me 를 치고 들어가곤 했다. 집 메인컴퓨터로 접속할 때는 내부네트워크이고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관련 설정이 잘되어 있어서 어려운 점이 없었는데, 윈도우노트북을 외부에서 접속할때, 이게 뭔가 불편한것 같아, 네트워크 위치나 드라이브처럼 바로 탐색기를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하여, 그 방법을 검색해보았다.

다만, 네트워크 설정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 상황에 따라 이런 방식을 쓸지 아닐지는 개인의 판단영역이라고 한다. 나는 편한게 목적이라 일단은 설정해보기로 했다.


우선 외부접속 관련하여 공유기 포트포워딩, 나스관련설정은 된 상태라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되었다. 



이렇게 탐색기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추가하고 싶었음.

우선은 나스앱에서 WebDav를 다운받아 설치해야한다. 



팟플레이어에서 바로 나스로 재생목록을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을 설정해봐서 이미 앱은 설치는 되어 있었다.


해당앱에 들어가서


이런 식으로 설정을 해주고 나면 된다.


그다음은 접속하는 PC_윈도우10운영체제에서 레지스트리 수정을 해줘야한다.

실행(윈도우키+R)이나 검색에서 regedit을 실행시킨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WebClient\Parameters

경로를 찾아간 뒤


BasicAuthLevel -> 2 로 설정

FileSizeLimitBytes -> 10진수로 변경 후 4294967295로 변경(최대용량이라고 한다.)


이렇게 레지스트리 변경을 마치고, 재부팅해주면 된다.

재부팅 뒤에는 내컴퓨터에서 네트워크위치 추가를 해주면 된다.

네트워크 주소는 http://자신의나스외부IP주소:5005 나 http://아이디.synology.me:5005 를 입력하면 된다.



나스나 네트워크관련해서는 아직 배워야 할 것이 많은 것 같다. 다만, 사용이 목적이기 때문에 어디서든 쉽게 접속하고 내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하려고 하고 있다.


네트워크 관련하여는 전문가가 아니라 이렇게 사용하는게 조금은 걱정이 되기는 하는데, 사실은 이런 설정을 바꾸는 것 자체로 보안에 취약해질 수 있다는 의견들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위치나 드라이브 설정을 해서 사용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한다. 개인의 판단에 따라 사용해야 할 것 같다. 이렇게 하나하나 IT기기 활용을 배워나가야겠다.






반응형
반응형

 기업을 분석함에 있어 가장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절차는 실사업무라고 볼 수 있다. 재무실사 용역은 회계법인 등에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보통 지분투자 또는 자본구조 변동 등에 있어서의 변화나 거래가 있는 기업에 대한 재무적, 영업적 활동에 대해 조사하는 용역이다.

재무실사 뿐 아니라 영업실사, 법률실사, 인사관련실사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며, 이런 실사절차를 통해 위험 또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파악함으로써 기업인수 또는 투자에 따른 Risk를 감소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Due diligence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사업에 있어 의사결정 이전에 적절한 주의를 다하고 계획을 수립하여 수행하여야 하는 주체 책임, 선관주의 의무/상당한 의무, 소정의 절차에 따른 조사행위라 한다.

사실 나도 이런 어려운 말은 이해가 잘 안가는 것 같다. 전문가들의 영역이다보니 어려운 것들이다.

다만, M&A에 있어서 보통 실사절차가 수행되기 때문에, 단순히 보자면 내가 사려고 하는 물건이 있는데, 그 물건에 대해서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핸드폰, 컴퓨터 등을 사는데도 다른 이들의 개봉기, 사용기, 리뷰 등을 참고하여 이 물건이 나에게 필요한가 등을 판단하듯이 기업에 투자함에 있어 기업이 무슨일을 하고 어떻게 돈을 벌며, 투자를 해도 되는지 아닌지 판단하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편한지는 모르겠다.

실사에는 여러분야가 있지만 재무실사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한다. 법률, 인사, 영업 등 중요한 분야들이 있지만, 사실 회계는 기업의 언어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기업의 주 목적이 수익창출이기 때문에 이에 따라 재무, 회계는 기업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사실 우리나라 사회에서는 재무, 회계는 그렇게 좋은 취급을 받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조금씩 바뀌어가고 있는 것 같지만 아직까지는 회계, 재무 분야는 귀찮은 분야, 단순히 우리의 활동을 정리하는 분야로만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점차 경영자들의 인식이 바뀌면서 주요분야로 변화하고 있기는 하지만 점차 더 좋아지길 바란다.

M&A 관련 재무실사를 진행함에 있어 초기에는 Deal, 거래와 관련된 위험요소 파악을 실시한다. Deal-breaker가능성, 향후 투자자금 조달을 위한 금융기관 차입여부, 지분구조와 관련된 예상 문제, 기업이 영위하는 산업에 대한 금융기관들의 전망 등등 High-level에서 위험요소들에 대한 파악을 시작한다.

이러한 것들을 통과하고 나면 항상 가장 중요한 가격결정이다. 매각측이라면 얼마에 팔 것 인지, 매수측이라면 얼마에 살 것인지가 중요하다.

사실 가격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 같다. M&A가 무엇이냐고 나에게 묻는다면 나는 비싼 기업을 싼 가격에, 싼 기업을 비싸게 파는 것이 M&A가 아닐까 싶다.

물론 이러한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 다양한 상황이 존재가능하고 많은 요소들이 있으니 단순한 일은 아닌 것 같다.

전문가에게 용역을 맡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나의 궁금증이다. 이 기업이 어떤지 현금창출력은 양호한지, 차입여력은 있는지, 어떠한 영업방법을 통해서 운영되는지 등 다양한 궁금증들이 있는데, 이러한 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용을 하는 것이다. 내가 모르는 부분이 있으니 해결을 부탁하려고 용역을 맡기는 것인데, 이러한 부분을 해결해주지 못 한다면 용역을 맡길 이유가 없다.

기업에 투자하기 위하여 재무실사에 대해 살펴보면 보통 EBITDA, Net Debt, Working capital, CAPEX를 주로 다룬다. EBITDA는 그 기업의 현금창출력, 이익의 질은 어떠한지, Net Debt은 차입관련 부채의 성격 및 규모 등, Working Capital은 적정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영업자금의 흐름이 원활하게 돌아가고 있는지, CAPEX는 투자활동은 과소 또는 과대되고 있는건 아닌지 등을 살펴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사절차들을 계속해나가게 되고, 사실 인수-매각자 간의 정보의비대칭성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어느정도 줄일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이러한 주요 파악절차들을 계속해나가게 되고, 계약서 작성을 위해 반영되어야 할 사항, 선결처리요건, 우발상황에 대한 방어, 진술 및 보장 등 여러가지 중요한 조건들을 계약서에 반영 또는 처리해야한다.

그리고 거래이후에 필요한 사항이 있는지, 회계적으로 처리, 반영되어야 할 사항이 있는지 등 다양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 실사업무는 글로 쓴 것보다 복합적인 상황이 존재한다. 사실 생필품을 사는 것보다 집이나 부동산을 구매하는 것이 복잡한 절차가 있듯이 기업에 투자, 인수를 함에 있어 더욱 더 복잡한 절차가 진행되는 것 같다. 거래규모가 크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쉽지 않은 일인 것 같지만, 자본주의의 꽃이 M&A라 불리듯 매력적인 일인 것은 사실인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카페24 관련 재무현황


Target overview

카페24(이하 "대상회사")는 쇼핑몰솔루션 사업을 영위하는 코스닥 상장법인임. 국내뿐만 아니라  온라인 쇼핑몰 고객군들의 사업 영위에 필요한 다양한 IT시스템과 서비스 연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솔루션을 고도화하여 글로벌시장에도 진출함. 2018년 6월기준 현재 미국, 일본, 중국 등 전 세계 8개의 해외 거점을 보유하고 있음.


Income Statement Overview

Source : 사업보고서

Note: LTM은 18년 6월기준임.


영업수익

    • 대상회사의 영업수익은 상품매출 및 수수료수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IT산업 성장과 더불어 2015, 2017년 기준 연평균 31.2% 성장하였음.

    • 대상회사는 인터넷쇼핑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해당 분야 관련 수수료 수입이 수요사업분야임.

영업비용

    • 대상회사의 영업비용은 인건비, 지급수수료, 통신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 서비스업체의 특성상 인건비 비중이 높으며, 지급수수료의 지출이 많은 것으로 보임.

    • 2015~2017년 기준 인건비성 경비는 영업수익 대비 약 46~53.1%, 지급수수료는 영업수익 대비 약 14~15.5%의 비율을 보임.

    • 한편 매출원가는 상품매출에 대응되는 상품매출원가로 보이며, 2015~2017년 기준 원가율은 68.6~74.9%.

EBITDA 및 Margin

  • 대상회사의 EBITDA2018LTM 기준 약 174억원이며, EBITDA margin11.2%20153.3%에서 매년 상승중임.


Balance Sheet Overview 

Source : 사업보고서





자산

    • 대상회사의 유동자산은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 전통적인 제조업체와 달리 유형자산의 비중은 크지 않은 편이며, 유형자산은 대부분 서버 등 인터넷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보임.

    • 2018 6월말 기준 현금성자산이 91,116백만원으로 가장 많은 편이며, 이는 기타금융부채 관련 자금조달의 영향인 것으로 보임

부채

    • 대상회사의 부채는 기타금융부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차입금과 관련된 자금조달부채일 것으로 보임.

    • 20186월말 기준 기타금융부채는 80,804백만원으로 높은 편임. 이는 신주인수권부사채 관련으로 당기손익지정부채로 인해 공정가치평가로 인한 영향으로 보이며, 신규자금조달과 관련하여 자금조달목적 및 향후 자금운용에 대한 파악이 중요할 것으로 보임.




공시되는 사업보고서 내용만을 참고하였으므로, 기타 다른 정보가 제시될 경우 현황파악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단순 참고용으로만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