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제 대망의 작심삼일의 삼일째인 3번째 원서읽기였다. 3일로 끝날지 아니면 이어질지 아니면 새로운 작심삼일을 구상할 것인지 내일이면 결정이 날 것 같다. 그래도 사실은 1~4권 세트를 구매했기 때문에 4권도 읽을 것 같기는 하지만 그 뒤에는 구매를 할지 안 할지 또 고민에 빠질 것 같기는 하다. 생각해보면 하루에 한시간 정도 투자해서 읽는 것이고, 다른 영어의 익숙한 사람들이면 한시간도 걸리지 않을 양일것 같아서 별 것 아닌 것같은데도 사람이 참 꾸준하기가 참 힘든 것 같다. 사실 읽고나면 별 것 아닌데 읽기 전까지 왜 이리 준비시간이 많이 걸리는지 모를 일이다. 나태하고 게으른 성격때문인지 무슨 일을 하더라도 조금 생각이 느슨해지는 경향이 있나보다. 그리고 또 조급해지는 경향도 있지 않나 싶다. 되돌아보면 겨우 3일밖에 안 되었는데 이렇게 하고도 무슨 성과가 있어야하지 않을까하는 조바심, 조급함 때문에 그동안은 중간에 그만 두거나 포기한게 있지 않았을까 싶다. 무슨 일을 할 때에도 시작했으면, 이 방법이 전혀 도움이 안 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거나, 나 자신 또는 남에게 피해를 줄지도 모른다면 그만 두는 것이 나을지도 모르겠지만, 무언가 시작했으면 그것에 대해서 판단을 내리려면 제대로 하고나서 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목표로 잡은 약 50권의 원서를 읽어보거나 아니면 아예 책을 한 권 통째로 외워보거나 했는데 안 되면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시작도 안 한 순간에 항상 먼저 생각하고, 먼저 아닌 것 같다라고 단정짓고 포기해버리는 상황은 만들지 말아야 겠다.


3번째 이야기 제목은 Mummies in the morning 이다. 이 글을 쓰려고 제목을 다시 보니 Mummies 단어 뜻을 몰랐는데, 책 표지만 보고 미라에 관한 내용이구나 라고 생각하고 읽었던 것 같다. 역시 3권에서도 이야기는 비슷했다. Jack과 Annie가 처음 나무 위에 있는 집을 찾아가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고, 그 뒤에 책 속에서의 여행, 모험을 다루고 있다. 피라미드 관련 책으로 들어가서 모험을 하면서 퍼즐, 암호, 단서 등을 풀고 얻어나가고 하는 모험을 하는 모습들이 나온다.

그리고 각 권마다 책과 관련된 주제로 들어가고 있고 크게는 누군가 미지의 인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가려고 하는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해당 책에 특정한 주제말고 큰 스토리 안에서도 앞 뒤 시리즈가 이어지도록 만든 것 같다. 1권부터 M이라는 글자, 사람에 대한 미스테리에 대해서 주인공들이 생각하고 그에 대한 단서를 찾고 있다. 책의 큰 제목이 매직트리하우스이니 Magic 또는 마법사 이런 비슷한 것들이 아닐까 생각이 들기는 하는데 주인공들이 모험을 하면서도 그리고 모험을 마치고 책 밖에 나온 실제 세상에서도 그에 대하여 단서를 찾고 있다. 유치하다고도 생각했는데, 생각해보니 내가 자만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영어로 보면 사실 어린 수준의 실력일텐데 그런 생각이 드는 것보니 말이다. 그래도 원서로 읽다보니 영어구조, 문장에도 적응할 겸 괜찮은 책인 것 같다. 이제 3권이 끝났고, 앞으로 4권을 읽으면 1~4권 세트를 구매한 것의 마지막이고 사실상 원서 책 한권을 읽었다는 만족감이 들지 않을까 생각한다. 

반응형
반응형

매직트리하우스 시리즈에 두번째, 원서읽기 도전(?) 아닌 도전에 두번째 원서이다. 습관이 들지 않아서 그런지, 시간을 가지고 보면 한시간도 안 걸릴 양인 것 같은데, 집중을 못 하는 것인지 오래 걸린다. 인터넷 기사도 찾아보고, 유투브 영상이라던지, 스포츠 경기도 보고, 다른 짓을 하느라 오래 걸렸다. 1권 때와 마찬가지로 그래도 읽을 때에는 모르는 단어를 찾아보지 않았고, 해석 안 되는 문장때문에 고민하지도 않고 그냥 쭉 흐름을 끊지 않는 것으로 하고 읽어내려갔다.

약간의 소리를 내면서 읽었고, 원래 그렇게 영어발음을 많이 해본 적이 없어서 그런지 아니면 이런 것이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어색해서 그런지, 내 영어 소리가 별로구나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래도 누가 듣는 것은 아니니까 혼자 방에서 천천히 읽었다. 보통 이런 것들을 새로 시작하면 습관이 들기 전에 꼭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그래서 항상 제자리에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그래도 작심삼일이라고들 하는데 아직 3일도 안 된 만큼 3일이 지나면 또 다시 작심삼일, 또 다시 작심삼일 그렇게 연장해나가야겠다. 시리즈를 시작한 만큼 어쨌든 Magic tree house 책은 28권까지 끝내야 할 것 같다. 사실 책 같은 시리즈에 수집욕이 있는 것인지, 결심을 한다고 그러는 것인지, 원래 처음에 시작할 때 내가 목표하는 양을 한꺼번에 사버리곤 하는데, 이번에 E-book을 살 때는 시리즈 전권을 사지는 않았다. 포기를 염두에 두고 한 것일 수도 있겠고, 그래도 해보고 나서 보자는 보수적인 경향도 있고, 조심스럽게 여러 생각들이 겹치다 보니 1-4권 세트만 일단 구입했다. 그래서 이번 2권째가 반을 읽은 셈이다. 초보 수준에서 읽을 수 있다는 책으로 선택한 것은 잘 한 것 같다. 고등학교 때인가는 영어공부 핑계대고 샀었던 어린왕자 원서는 1장도 제대로 안 읽은 채 어디로 사라진 것인지 모르겠다. 1-4권 세트로 보면 반이지만 1,2권을 읽었으니, 여태껏 살아오면서 한번도 읽어본 적 없는 영어원서를 완독한 것이니까 웃기지만 자기만족을 느끼고 있다. 



Magic tree house, 매직트리하우스, 매트하 2권의 제목은 The knight at dawn이다. 기사와 관련된 내용이라고 쉽게 추측 가능하고, 1권과 비슷한 전개로 처음에 Jack과 Annie가 나무 위에 집을 찾게 되고, 그 중 책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기사를 보게 되고, 어느 성 마을로 들어가다가 적에게 쫓기고 기사의 도움을 받아 탈출, 다시 집으로 돌아오게 된다는 내용이다.

2권째이긴 한데, 아직 영어에 익숙하지는 않은 것 같다. 쉽다고들 하는데 읽다보니 성 안으로 가는 장면을 묘사한 부분이라던지, 중간부분에 잘 이해가 안 가는 것들이 많았던 것 같다. 다시 읽어보면 해석이 안되는 것은 아닌 것 같은데 처음에는 약간 당황하기는 했다. 아무 생각없이 그냥 읽고만 있는 기분이 들기도 했고, 내용이 갑자기 생각이 안나서 놀랐다.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기초가 부족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아마 두가지 이유가 다 해당되는 것 같기도 하다.

다음에 읽을 때는 그래도 한시간 정도는 앉아서 쭉 읽어보아야겠다. 책상에 앉아서 집중한지는 오래되어서 이런 것도 약간 습관화시켜야 할 것 같다. 공부하는 느낌은 아니더라도 독서하는 습관을 갖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반응형

'My stroy >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glish book] Magic tree house #4  (0) 2018.10.29
[English book] Magic tree house #3  (0) 2018.10.28
[책리뷰] 세상을 만드는 글자, 코딩  (0) 2018.10.27
[English book] Magic tree house #1  (0) 2018.10.26
[English book] 목표설정  (0) 2018.10.25
반응형

2018년 초반쯤 그리고 여름까지만 해도 한창 4차산업혁명과 관련하여 코딩열풍이 불고, 코딩이 정규과정으로 편입된다는 이야기도 있었던 것 같다. 그러다 조금 시간이 흘러 내가 관심이 떨어진 것인지 열풍이 조금 식은 것인지, 관련 이야기는 조금 사라진 듯 싶기도 하다. 지금와서 생각하니, 그 당시 내가 그쪽에 관심이 있어서 그런 이야기들을 많이 본 것이고, 지금은 그런 정보를 많이 찾지 않으니 열풍이 식은 것처럼 느껴지는 것인지 확실히는 모르겠다. 그냥 가끔 드는 생각은 사람은 항상 자기가 보고 싶어하는 것만 보고 느낀다는 말이 맞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어느정도 이 말도 맞는 것 같기는 하다. 항상 자신을 중심으로 세상을 생각하게 되니까 말이다. 나 역시도 무언가 관심있어서 관련된 분야를 찾아보면 해당 분야에 관심있는 분들이 이미 많은 정보들을 공유하고 있고, 해당 글이나 자료 등을 보게 되니까 말이다. 사실 내가 관심이 있어서 보던 말던 그 분들은 그렇게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관련하여 많은 것들을 알아가고 있었는데도 말이다. 처음 코딩이나 프로그래밍언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찾아볼 때보다는 다르게 열정적이지는 않지만, 그래도 관련하여 조금씩 정보들을 찾아보고는 있기는 하다.

관련하여 이전에 읽은 책에 대해 글을 쓰려고 한다.

(창의와 소통을 위한 코딩 인문학) 세상을 만드는 글자, 코딩이라는 책이다.


어릴 때는 컴퓨터 관련하여 관심이 많아서 포토샵이라던지 플래시 등을 배워보려고도 했었고, 좋아하던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고 싶기도 했는데, 어느 때부터인지 컴퓨터에 대한 관심도 떨어지고 학교 다니는데만 급급했던 것 같기도 하다. 게다가 인문계열 출신이라 프로그램언어에 대해서는 정규과목을 수강한 적도 없고, 마음 속 깊은 한 구석에만 C언어를 수강신청해볼까 하다 실천하지 못한 기억이 있다. 항상 생각만 하고 실천하지 않는 것이 문제이다. 허나 그 때 다른 선택을 했더라도 어땠을까라는 생각은 무의미한 일이니 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리고 또 후회하진 않는다. 어차피 그 선택을 한 것은 나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컴퓨터언어에 대해 일반적인 이야기를 이해하기 쉽도록 쓰려고 한 것 같다. 기초적인 코딩지식에서 왜 코딩을 배워야하는지, 코딩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 것 같다. 그리고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적인 예제, 예시 코딩에 관한 것도 부분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 연산원리 등을 설명해주고 있고 그런 것들에 따라 우리의 과학기술이 어느정도까지 구현되고 있는지 전문적인 구체적 상황까지는 아니지만 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 부분은 마음에 들었다. 결국 AI, 러신머닝 등 구현하고자 하는 방향과 원리 등을 설명해주고 있고, 의학, 과학적으로 유전자, DNA, 우리 뇌의 작동원리 등에 대하여 증명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로봇, 컴퓨터가 인간과 똑같은 능력은 갖추기 힘들 것이라는 설명도 있고, DNA지도, 복제 등 잘 생각하지 못했던 분야에 대해서 약간이나마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다만, 처음과는 달리 조금씩 뒤로 갈 수록 코딩 예시 등이 나오는 부분은 솔직히 기초적인 지식이 없어서 그런지 그렇게 큰 도움은 안 되었던 것 같다. 

그래도 처음 내용이 많은 생각을 하게 도와준 것 같아서 전반적으로는 괜찮았던 책이었던 것 같다. 

코딩에 대해 아직 많은 것을 알지도 못하고 배워야할 것도 많지만, 조금씩 기초적인 부분, 기본적인 것들을 습득하기 전에 큰 방향을 생각하기에는 괜찮은 책으로 생각된다.



반응형

'My stroy >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glish book] Magic tree house #4  (0) 2018.10.29
[English book] Magic tree house #3  (0) 2018.10.28
[English book] Magic tree house #2  (0) 2018.10.27
[English book] Magic tree house #1  (0) 2018.10.26
[English book] 목표설정  (0) 2018.10.25

+ Recent posts